
방어기제의 개념과 유형
1. 방어기제의 개념
Anna Freud는 아버지 Sigmund Freud가 제기한 자아의 방어기능에 대한 관점들을 정리하여 방어기제에 관한 최초의 체계적 이론을 수립하여 성격발달에서 방어기제의 역할에 관한 이해를 확대시켰다[1]. 그녀에 따르면 성숙하고 강한 자아를 가진 사람은 본능적 욕구, 환경의 요구, 초자아의 명령을 인정하고 그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합리적인 방법을 지시할 수 있으나 약하고 미성숙한 자아를 가진 사람은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부분적이라도 욕구를 충족시킬 목적으로 일종의 적응기술인 방어기제를 사용한다.[2] 다시 말해서, 마음의 평정을 깨트리는 사건들이 내적 혹은 외적으로 발생할 때, 발생한 불안감은 초자아를 위협하게 되며, 이때 자아가 불안을 처리하고 마음의 평정을 다시 회복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바로 방어기제인 것이다.[3]

2. 프로이드의 자아방어기제의 유형
① 억압 (repression) : 억압은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방어기제로서 바람직하지 못한 충동 사고, 감정, 기억 등을 기억하지 않으려고 무의식 속으로 밀어 넣어서 자아를 불안에서 보호하고자 하는 것임
② 반동형성 (reaction formation) : 불안을 야기하는 충동, 감정, 생각을 의식의 수준에서 반대되는 것으로 대체하여 의식에서 감추고 불안을 막음
③ 퇴행 (regression) : trauma가 있거나 실패가능성이 있는 상황에 처할 때 발달의 초기로 돌아가고자 하는 행동 양식 / ex)동생이 태어나면서 어른들의 관심이 동생에게 가자 다시 그 관심을 받고싶어 잘 해오던 대소변 실수를 하거나 자기 전 무섭다고 울며 아기처럼 행동하는 것.
④ 격리 (isolation) : 과거의 고통스러운 기억과 연관된 감정을 의식에서 떼어내는 것
⑤ 취소 (undoing) : 용납할 수 없는 행위를 했다고 느끼거나 죄책감이 들 때 이를 보상과 속죄의 행위를 통해 중화 또는 무효화 하는 것
⑥ 투사 (projection) :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없는 자신의 행동과 생각을 마치 다른 사람의 것인 양 생각하고 남의 탓을 하는 것 / ex) 본인이 하고있는 부적절한 행위를 타인이 하는 것 처럼 뒤집어 씌움.
⑦ 투입 (introjection) : 애증과 같은 강한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다른 사람을 자기로 간주하여 자기의 내면세계로 받아들이는 것
⑧ 자기에게 전향 (turning against self) : 공격성 같은 본능적인 충동이 남이 아닌 자기에게 향하는 것
3. 기타 방어기제
① 합리화 (rationalization) : 용납할 수 없는 태도, 신념 또는 행동을 정당화하기 위한 시도로서 그럴 듯한 이유를 붙여서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고 불안의식을 제거 / ex)친구를 따돌리거나 괴롭히는 행동을 하며 피해 친구는 하는 행동마다 민폐라서 "내가 아니어도 누구든 나와 같은 행동을 했을것이다. 모두를 위해 솔선수범 한 것이다." 라고 말하거나 생각하며 정당화하는 것.
② 전치 (displacement) : 본능적 충동, 어떤 감정을 진짜 대상에서 덜 위협적인 대상으로 옮겨서 표현 함
③ 동일시 (identification) : 주변의 중요한 인물들의 태도와 행동을 닮아 가는 것
④ 전환 (conversion) : 심리적 갈등이 신체감각이나 수의근육계의 증상으로 표출되는 것
⑤ 지성화 (intellectualization) : 고통스러운 감정과 충동을 누르기 위해 그것들을 직접 경험하는 대신 그것들에 대해 생각을 많이 하는 것
⑥ 보상 (compensation) : 심리적으로 약점이나 제한점이 있는 사람이 이를 보상받기 위하여 다른 어떤 것에 몰두하는 것
⑦ 내면화 (internalization) : 다른 사람, 특히 부모의 태도, 규범, 가치관을 자신의 성격으로 흡수하는 것
⑧ 부정 (denial) : 감당할 수 없는 위협적 요소가 있을 때 존재하는 위험이나 현실을 부정함으로써 불안을 회피하고 편안한 상태를 유지
⑨ 치환 (substitution) : 제1의 대상으로 향하던 무의식적 욕구나 충동이 모양을 바꾸어서 다른 제2의 대상을 향하는 것
'archive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전문적 관계형성을 방해하는 요소들 (0) | 2023.01.11 |
---|---|
과학적 논리의 전개방식인 연역법과 귀납법 비교설명 (0) | 2023.01.11 |
민간, 공공복지 전달체계의 개념/ 각 전달체계 특징을 예를 들어 상호비교 (0) | 2023.01.10 |
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대한 우리나라의 부정적 또는 긍정적 사례 (0) | 2023.01.09 |
사회복지조직의 특수성을 논하고, 이에 대한 본인의 생각 진술하기 (0) | 2023.01.09 |